<p></p><br /><br />지난 10년간 채널A가 보도해 큰 반향을 이끌어냈던 특종과 단독기사들입니다.<br> <br>이런 특종 보도 현장, 지금은 어떤 모습일까요. <br> <br>오늘부터 4주 간 매주 하나씩 전해드리겠습니다. <br> <br>먼저 33년간 전국을 공포에 빠트렸지만 영원히 미제사건으로 남을뻔했던 '이춘재 연쇄살인사건'입니다. <br> <br>2년 전 채널A의 최초 보도로 진범이 드러났습니다. <br> <br>이 사건을 집중 취재한 이다해 기자가 다시 가봤습니다.<br> <br>[리포트]<br>1986년부터 91년까지 이춘재는 이 일대에서 부녀자들을 상대로 범행을 저질렀습니다. <br> <br>아파트 단지가 들어서면서 범행 현장의 모습은 찾아볼 수 없는데요.<br> <br>피해자들은 여전히 당시의 악몽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.<br> <br>지난 1989년 11월 19일, 이춘재와 맞닥뜨렸던 여성은 30여 년 전 귀갓길의 끔찍했던 순간을 아직도 잊을 수 없습니다. <br> <br>[이춘재연쇄살인사건 미수 피해자] <br>"목을 여기에 끼더니 퍽퍽 때리더니… 성폭행당하거나 죽거나 이 생각을 딱한 거야." <br> <br>성폭행을 시도하던 이춘재는 몸싸움 끝에 여성이 거름더미로 떨어진 뒤에야 현장을 떠났습니다. <br> <br>[이춘재연쇄살인 미수 피해자] <br>"살려서 뭘 해. 밥도 아깝지. 죽게만 않게끔 끌고 다니다가 죽였으면 좋겠어 나는." <br> <br>지난 1994년, 처제를 살해한 혐의로 무기징역을 선고받고 부산교도소에 수감 중이던 이춘재. <br> <br>연쇄살인사건 증거품에서 나온 DNA가 자신의 것과 일치한다는 사실을 통보받고는 그동안의 범행을 털어놨고, 채널A는 이같은 사실을 최초로 보도했습니다. <br> <br>[2019년 9월 18일 뉴스A] <br>"화성연쇄 살인사건의 용의자가 경찰에 붙잡힌 사실이 확인됐습니다." <br> <br>[2019년 10월 1일 뉴스A] <br>"이춘재가 자신의 범행을 자백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" <br><br>살인 14건과 성폭행 19건.<br> <br>미수까지 합치면 그가 자백한 범죄는 48건이나 됩니다. <br> <br>경찰은 재수사를 통해 이 중 23건에서 이춘재의 범행임을 입증할 증거를 찾아냈습니다. <br><br>하지만 2006년 4월로, 모든 사건의 공소시효가 끝난 상황이어서 그를 추가 처벌할 수 있는 방법은 현재로선 없습니다.<br><br>1989년, 초등학생이던 딸을 잃어버린 김용복 씨. <br> <br>딸이 이춘재에게 살해됐다는 사실을 알게 되기까진 30년이란 세월이 걸렸습니다. <br><br>그 긴 시간 동안 시신은 물론 유류품조차 찾지 못했던 이유는 당시 형사계장이 부실수사 논란을 피하기 위해 딸의 시신을 숨기고 증거를 인멸했기 때문이었습니다. <br> <br>[김용복 / 이춘재연쇄살인사건 피해자 아버지] <br>"자식 낳고 키우는 사람인데, 죄를 느껴야 될 것 아니야. 자기 자식을 내가 그랬으면 그놈(당시 형사계장)은 가만있었겠어?" <br> <br>8차 사건의 범인으로 몰려 20년간 억울한 옥살이를 했던 윤성여 씨. <br> <br>재심을 통해 무죄 판결을 이끌어냈지만, 그에겐 또 다른 아픔이 있습니다. <br> <br>[윤성여 / 8차 사건 누명 피해자(지난 2019년 11월)] <br>"광역수사대 박일남 반장님, 김현수 경사님께 감사드립니다. 저에게 희망을 주셨고 일을 해결하겠다고 저에게 말씀하셨습니다." <br> <br>이 사건을 재수사하던 박일남 경감은 격무에 시달리다 순직했습니다. <br> <br>[윤성여 / 8차 사건 누명 피해자] <br>"그분은 참 안 됐어. 그리 고생하고 일하다 순직을 하셨는데 지금 살아계셨으면 우리가 아마 술이나 한잔 했겠지…" <br> <br>강압 수사의 피해자는 윤 씨뿐이 아니었습니다. <br> <br>1988년, 수원 여고생 살인 사건의 용의자로 몰렸던 16세 소년은 경찰의 폭행으로 사망했고 10차 사건의 용의자로 지목됐던 30대 남성은 계속된 강압수사에 극단적 선택을 하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1986년부터 1991년까지 이춘재연쇄살인 사건의 용의자로 지목된 이들은 3천 명에 이릅니다. <br><br>진실과 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위원회가 이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벌이는 가운데 현재까지 27건의 강압 또는 인권침해 사례가 파악됐습니다. <br><br>[박근영 / 진실과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언론홍보팀장] <br>"사회적으로 당연히 약자일 수밖에 없는 분들이 많거든요. 국가로부터의 인권침해를 스스로 밝히거나 그걸 토대로 국가를 향해서 배·보상을 요청하는 것은 굉장히 어렵습니다." <br> <br>과거사 정리위원회는 이르면 내년 하반기까지 피해 조사를 마무리 짓고 피해자들이 소송을 통해 국가 배상을 받을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겠다는 방침입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이다해입니다.